

△ 진주 귀걸이를 한 소녀
요하네스 베르메르 (네덜란드, 1632-1675)
푸른 바다 물방울 칠보 귀걸이

△ 여인의 초상
찰스 프레드릭 네이겔 (미국, 857-1944)
칠보 벚꽃 은목걸이

△ 마담 수잔 포어슨의 초상화
존 싱어 사전트 (미국, 1856-1925)
무빙 드롭 칠보 귀걸이

△ 여인의 초상
에밀리 아이즈만 세메노프스키 (프랑스, 1853-1918)
바다 담은 미니 칠보 침 귀걸이

△ 사라 캠벨
조슈아 레이놀즈 경 (영국, 1723-1792)
깊은 바다 칠보 목걸이

△ Mrs. William Crowninshield Endicott, Jr.
존 싱어 사전트 (미국, 1856-1925)
프레첼 칠보 귀걸이

△ 마담 아믈랑의 초상
안드레아 아피아니 (이탈리아, 1754-1817)
성스러운 십자가 칠보 목걸이

△ 모나리자
레오나르도 다 빈치 (이탈리아, 1452-1519)
푸른바다 물방울 칠보 목걸이

△ 진주 목걸이를 한 여인
요하네스 베르메르 (네덜란드, 1632-1675)
프레첼 칠보 귀걸이

△ 윌드그레이브 자매들
조슈아 레이놀즈 경 (영국, 1723 - 1792)
푸른바다 물방울 칠보 목걸이

△ 세가지 은혜
에두아르 비송 (프랑스, 1856-1939)
칠보 벚꽃 은목걸이

△ 마담 드 퐁파두르
프랑수아 부셰 (프랑스, 1703-1770)
무빙 드롭 칠보 귀걸이

△ 큐피드와 프시케의 결혼
폼페오 바토니 (이탈리아, 1708-1787)
블루와 옐로 그라데이션 라운드 칠보 반지

△ 이삭줍기
장 프랑수와 밀레 (프랑스, 1814-1875)
통통 미니하트 칠보 펜던트

△ 아델레 블로흐-바우어의 초상 Ⅰ
구스타프 클림트 (오스트리아, 1862-1918)
깊은 바다 칠보 목걸이

△ 그네
장 오노레 프라고나르 (프랑스, 1732-1806)
푸른 바다 물방울 칠보 귀걸이

한국의 칠보 기술은 1400년 전
신라시대부터 시작되어 조선시대에 발달했습니다.
-
1970년대 근대에는 우리나라 수출의 한 부분을
담당할 정도의 산업규모를 차지하고 있었지만
서구 모던 디자인의 영향으로 점차 쇠락의 길을 걷게 되어
우리 전통을 부활시키기 위해 전시회를 마련했습니다.
-
깊어가는 가을 정취, 한국의 멋 칠보와
서양 명화의 조화로움을 감상해주시는 여러분들이
이 시대의 낭만파이십니다. 감사합니다.
회원에게만 댓글 작성 권한이 있습니다.